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기업 2025.09.23

삼성전기, 서울대와 '첨단소재 산학협력센터' 설립

▶ 소재분야 원천기술 확보 및 AI 공정 등 포괄적 협력
- MLCC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서울대 재료공학부 및 관련 테마 교수진 참여
- 메커니즘 해석 기반의 기술 확보 및 우수 인재 확보 박차

▶ 장덕현 사장, '소재·부품'이 리딩하는 기술개발 지속 강조
- 2024년 포항공대 신소재공학부, 2025년 서울대 재료공학과 특강 통해 소재 혁신 강조

 

[참고사진]삼성전기 장덕현 사장(왼쪽에서 8번째)과 서울대 김영오 공대학장(왼쪽에서 10번째)이 첨단 소재 산학 협력 체결식 후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jpg

 

삼성전기가 MLCC 제품/기술 경쟁력 제고 및 우수 인재 확보를 위해 서울대학교와 손잡고 '첨단소재 산학협력센터'를 설립했습니다. 

 

삼성전기와 서울대는 소재·부품 분야와 AI 공정 등 제품개발의 전 영역의 기술력 확보를 위해 산학센터인 '첨단소재 산학협력센터'를 신설하는데 합의하고 MOU를 체결했습니다. 

 

[참고사진]삼성전기 장덕현 사장(왼쪽)과 서울대 김영오 공대학장(오른쪽)이 첨단 소재 산학 협력 체결식 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2).jpg

 

지난 22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에서 진행된 행사에는 삼성전기 장덕현 대표이사 사장, 최재열 컴포넌트사업부장 부사장, 주혁 중앙연구소장 부사장,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김영오 학장, 심병효 교무부학장, 김성재 대외협력위원장, 이명규 재료공학부 학부장 등이 참석했습니다. 

 

삼성전기와 서울대는 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첨단소재 산학협력센터에서 향후 5년간 소재·부품 및 AI를 활용한 공정 등에 대한 산학협력 연구과제를 수행할 예정입니다. 이 과정에는 서울대 10여 명의 교수가 참여합니다.

 

연구과제는 MLCC 제품 재료·공정 연구 및 메커니즘 해석 기반의 원천기술 확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또한, 과제에 참여하는 석·박사급 연구원을 대상으로 우수 인재 양성 및 확보를 위한 채용 연계 활동도 병행할 계획입니다.

 

삼성전기 장덕현 사장은 “소재·부품 산업의 기술경쟁이 갈수록 첨예해지면서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기업들의 경쟁이 심해지고 있다”며 “이번 서울대학교와의 협약은 삼성전기의 기술 경쟁력은 물론, 한국 소재·부품 산업의 뿌리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김영오 학장은 “이번 MOU를 통해 첨단 소재·부품 산업 발전에 서울대가 큰 기여를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면서 "특히 이러한 블록펀딩 형태의 산학협력은 대학에 자율성을 보장하고 지속가능한 연구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협력 모델"이라고 평가했습니다.

 

한편 삼성전기는 ▲소재 ▲다층박막성형 ▲미세회로 구현과 같은 핵심기술을 바탕으로 IT 및 전장 분야의 차세대 부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연구개발 업무를 전담하는 중앙연구소를 통해 미래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각 사업부에 별도 연구개발 조직을 구성해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기술변화에 적기 대응하고 있습니다.

연관기사

온라인홍보관 이동 TOP